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

수목병의 진단 수목병의 진단 - 병원체가 병을 일으키기 위해 기주식물에 운반되는 것을 전반(傳搬)이라 하며 병원체의 대부분은 스스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어떠한 다른 수단에 의하여 전반된다. * 바람(풍매전반) : 잣나무털녹병균, 밤나무줄기마름병균, 밤나무흰가루병균 ※ 밤나무흰가루병균의 특징 : 늦은 봄부터 늦가을까지 주로 묘목에 많이 발생하며 잎의 뒷면에 표징이 나타나며, 어린 눈을 침해한다. * 물(수매전반) : 근두암종병균, 묘목의 잘록병균, 향나무적성병균 * 곤충(충매전반) : 오동나무빗자루병, 대추나무빗자루병 * 토양 : 근두암종병균, 묘목의 잘록병균, 리지나 뿌리썩음병균 * 종자 : 오리나무갈색무늬병균(종자의 표면에 부착하여 전반되는 것), 호두나무 갈색썩음병균(종자의 조직내에 잠재해서 전반되는 것) .. 2024. 3. 5.
수목병 발생 수목병의 발생 1. 수목병의 발생 (1) 병원체의 월동 - 병원체는 활동에 적합하지 못한 환경조건이 되면 특정한 장소에서 조직이나 기관을 형성하여 휴면하여 주로 겨울의 저온에 대한 휴면을 월동이라 한다. - 월동한 병원체는 봄에 활동을 시작하여 식물에 옮겨지고 제1차 감염을 일으켜 발병의 중심이 된다. 제1차 감염 이후 새로 발병한 환부에 형성된 전염원에 의해 일어나는 감염을 제2차 감염이라 한다. - 병원균의 월동 형태는 균사, 후막포자, 균사덩이(균사괴), 균핵, 번식기관 등이 있다. - 병원균의 월동 장소는 기주체 내(잣나무털녹병균, 벚나무빗자루병균, 소나무잎녹병균), 기주체 포면, 종자(흰가루병균, 그을음병균), 기주수목의 죽은 조직(낙엽송잎떨림병균), 토양(근두암종병균, 자줏빛날개무늬병균, 뿌리.. 2024. 3. 4.
수목병의 원인과 병징 수목병의 원인 (1) 병원(病原) * 수목에 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병원(病原)이라 한다. 병원이 생물 또는 바이러스일 때는 병원체(病原體)라고 하며 특히 세균이나 진균일 때는 병원균(病原菌)이라 한다. * 식물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병원을 정확히 파악하여 전염성과 비전염성을 구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병원성(病原性) : 기주식물에 대해서 기생체가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으로 기생체가 관여했을 때 성립된다. * 기주(寄主,host) : 기생을 당하는 것으로 병원체가 이미 식물을 침해한 상태이다. * 식물이 어떤 병원체와 서로 접할 때 기주가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을 감수성 또는 이병성(罹病性)이라 하며, 그 반대의 개념을 저항성(抵抗性)이라 한다. 감수성과 저항성은 어떤 병원체에 대한 기주의 반응.. 2024. 3. 4.
묘목의 식재 묘목의 식재 1. 굴취 및 포장 (1) 묘목의 굴취(掘取) 굴취는 나무를 옮겨심기 위하여 땅으로부터 파내는 것으로 대부분의 묘목은 봄에 굴취하나 낙엽수는 생장이 끝나고 낙엽이 완료된 후인 11~12월에 굴취한다. 묘목은 기계 굴취기를 사용하여 굴취하며 가능한 한 가식 기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날 산출할 양만큼 또는 옮겨 심을 양만큼 굴취한다. 굴취기는 예리한 것을 사용하여 가급적 깊이 파고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한다. 묘목의 굴취는 바람이 없고 흐리며 서늘한 날이 좋으며 비바람이 심하거나 아침이슬이 있는 날은 작업을 피하는 것이 좋다. (2) 묘목 고르기(선묘, 選苗) 선묘 작업은 굴취한 즉시 햇빛이나 바람이 통하지 않는 창고 등에서 실시하여 묘목의 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한다. 각 수종별 규격에 대하여 합.. 2024.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