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림지식

수목병의 진단

by 봄바람가든 2024. 3. 5.

수목병의 진단 

- 병원체가 병을 일으키기 위해 기주식물에 운반되는 것을 전반(傳搬)이라 하며 병원체의 대부분은 스스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어떠한 다른 수단에 의하여 전반된다.

* 바람(풍매전반) : 잣나무털녹병균, 밤나무줄기마름병균, 밤나무흰가루병균

※ 밤나무흰가루병균의 특징 : 늦은 봄부터 늦가을까지 주로 묘목에 많이 발생하며 잎의 뒷면에 표징이 나타나며, 어린 눈을 침해한다.

* (수매전반) : 근두암종병균, 묘목의 잘록병균, 향나무적성병균

* 곤충(충매전반) : 오동나무빗자루병, 대추나무빗자루병

* 토양 : 근두암종병균, 묘목의 잘록병균, 리지나 뿌리썩음병균

* 종자 : 오리나무갈색무늬병균(종자의 표면에 부착하여 전반되는 것), 호두나무 갈색썩음병균(종자의 조직내에 잠재해서 전반되는 것)

* 묘목 : 잣나무털녹병균, 밤나무근두암종병균, 포플러모자이크병균

- 균류는 포자 / 균사 또는 균핵의 형태로 다른 수단에 의해 전반되는데, 진균 중의 유주자(遊走子)는 능동적으로 자신이 운동하여 기주식물에 도달하기도 한다.

3. 수목병의 예찰진단

- 병든 식물을 정밀하게 검사하여 비슷한 병과 구별하고 정확한 병명을 결정하는 것을 진단(診斷, diagnosis)이라 한다.

- 식물병을 진단할 때는 발병상황, 환경조건, 식물의 종 / 품종, 식물의 노유(老幼), 재배환경 등을 먼저 밝혀야 한다.

- 식물병을 진단할 때는 우선 전염성 여부를 결정한 후 전염성 병인 경우에는 병원체를 동정하여 정확한 병명을 결정한다. 동정(同定, identification)이란 병원체를 분리 배양하고 접종시험을 거치는 등 복잡한 실험을 거쳐 종명(種名)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다.

- 병환부에는 병원균 외에 다른 미생물도 존재하므로 병환부에서 검출된 미생물은 KOCH의 원칙에 따라 증명해야 한다. , 식물병원체 중 바이러스, 흰가루병균, 녹병균과 같은 절대기생체는 다음의 원칙을 만족할 수 없는 것도 있다.

※ 병원체는 동정(同定)에 관한 KOCH의 원칙

- 병원체는 반드시 병환부에 존재한다.

- 병원체는 배지 상에서 순수 배양되어야 한다.

- 병원체를 순수배양하여 접종하면 같은 병을 일으킨다.

- 접종한 식물로부터 같은 병원체를 다시 분리할 수 있다.

(1) 육안적 진단

* 병징과 표징에 의하여 육안으로 진단하는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 병징에 의한 진단

- 변색, 구멍, 시듦, 비대, 빗자루, 위축, 왜화, 미라화, 기관의 탈락, 괴사, 줄기마름, 가지마름, 부패, 분비 등이 있다.

* 습실처리에 의한 진단

- 습실처리는 병환부가 마르거나 오래되어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물에 적신 신문지나 휴지를 넣어 포화습도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처리 후 병원균의 활동이 활발해져 병원균이 식물체의 표면에 노출하는 경우가 많다. 진균병의 진단에 많이 이용된다.

(2) 해부학적 / 현미경적 진단

- 현미경을 이용하여 병원체의 유무, 병원균의 종류 및 형태, 병원균의 균사 모양 및 편모 수와 위치, 항체와 반응 시 나타나는 형광현상 등을 조사하여 진단하는 방법이다. 시듦병에 감염된 식물은 물관부가 갈변되고 감자 잎말림병에 감염된 줄기는 체관부가 고사한다.

- 그람염색법(Gram staining) : 대부분의 식물병원균은 그람음성이므로 그람염색법을 이용하여 병원균을 진단한다.

- 그 밖의 침지법(DN), 초박절편법(TEM), 면역 전자현미경법(ISEM) 등이 있다.

(3) 물리 / 화학적 진단

- 병든 식물 또는 병환부에 나타나는 물리 /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 이 변화가 병원에 따라 특이적으로 일어나면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 감자 바이러스병에 감염된 씨감자의 진단에는 감염된 즙액에 황산구리를 첨가하여 즙액의 착색도와 투명도를 검사하는 황산구리법이 이용된다.

(4) 병원적 진단

- 인공접종 등의 방법을 토앻 병원체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KOCH의 원칙에 따라 병든 부위에서 미생물의 분리 → 배양 → 인공접종 → 재분리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 소나무류의 잎녹병은 중간기주식물에 대하여 접종시험을 하여야만 병원균의 정확한 동정이 가능하며 fusarium과 같이 병원성이 분류의 기준으로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감수성이 높은 식물에 인공접종할 필요가 있다.

(5) 생물학적 진단

- 식물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성질을 이용하여 토성 / 토질 또는 기후의 적 / 부적을 결정할 때 그 식물을 지표식물(指標植物)이라 한다.

- 근두암종병균에는 밤나무, 감나무, 벚나무, 사과나무 등이 지표식물이므로 만약 식재지에 병원균이 있으면 묘목의 뿌리에 명확하고 큰 암()이 생기게 된다.

- 그 밖에 감자 X바이러스에는 천일홍, 뿌리혹선충에는 토마토와 봉선화, 과수 자줏빛 날개무늬병에는 고구마, 바이러스병에는 명아주 / 독말풀 / 땅과리 / 잠두 / 천일홍 / 동부 등이 지표식물로 알려져 있다

(6) 혈청학적 / 면역학적 진단

- 병원체에 대한 혈청을 만들어 진단하는 방법으로 만약 항원이 순수하면 그 반응은 특이하므로 다른 비슷한 병원체에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감자 X 모자이크병 / 보리 줄무늬 모자이크병의 간이진단법, 벼 줄무늬 마름 바이러스병의 보독층 검정 등에 이용되고 있다.

- 그 밖에 한천겔 면역확산법(AGID), 형광항체법, 효소결합항체법, 직접 조직프린트면역분석법, 적혈구응집반응법 등이 있다.

(7) 진단 시 주의사항

- 병명의 결정만이 진단이 아니다. 병명을 알았다 하더라도 그 원인과 치료 방법이 어떤지도 자세하게 알아야 할 것이다.

- 원인과 결과와의 관계도 중요하다. 하나의 원인으로 각기 다른 병징이 나타날 수 있고 여러 원인으로 한 가지 병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진단은 가능한대로 현장에서 하여야 한다.

- 전신 진단을 하여야 한다. 열매에 병징이 있다 하더라도 원인은 뿌리나 또는 줄기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산림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 병해  (0) 2024.03.06
수목병의 종류 및 방제법 Ⅰ  (0) 2024.03.05
수목병 발생  (0) 2024.03.04
수목병의 원인과 병징  (0) 2024.03.04
묘목의 식재  (0) 2024.03.04